청년내일채움공제란

청년내일채움공제는 미취업 청년의 중소기업 정규직 일자리 취업을 촉진하고 장기근속을 유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운영되었던 제도입니다.

청년이 2년간 300만원을 적립하면 기업과 정부의 지원금을 더해 만기 시 1,200만원의 목돈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적립 구조

  • 청년 근로자: 2년간 총 300만원 (매월 12.5만원씩 납입)
  • 중소기업: 2년간 총 300만원
  • 정부 지원금: 2년간 총 600만원
  • 만기 수령액: 1,200만원 + 이자

청년이 300만원을 납입하면 약 5배의 금액인 1,200만원 이상을 받을 수 있어 매우 매력적인 제도였습니다.

2024년 폐지 안내

신규 신청 중단

2024년부터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신규 신청이 중단되었습니다.

고용노동부는 2023년까지 신청한 기존 가입자들에 대해서만 지원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폐지 이유

청년내일채움공제가 폐지된 주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재정 여건 악화

  • 2022년 1조 3,099억원이었던 예산이 2025년 294억원으로 대폭 감축
  • 예산의 97.8% 감소로 사실상 폐지 수순

중도 해지율 증가

  • 누적 해지자 수 6만 2,964명
  • 중도해지율 40% 초과

가입 조건 강화

  • 2021년 하반기부터 가입 대상이 축소
  • 5인 이상 중소기업에서 50인 미만 제조·건설업 중소기업으로 제한
  • 2023년 기준 목표 달성률 23%에 그침

과거 지원 대상 (참고)

청년 자격 요건

  • 연령: 만 15세 이상 ~ 만 34세 이하 (군필자는 복무기간 고려 최대 만 39세)
  • 고용보험: 과거 가입 이력이 없거나 최종 학교 졸업 후 총 가입기간 12개월 이하
  • 급여: 월 급여 총액 300만원 이하 (2025년 기준 3,500만원 이하)
  • 신청기한: 정규직 채용일로부터 6개월 이내

기업 자격 요건

  •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 5인 이상 중소기업
  • 벤처기업, 청년창업기업 등은 5인 미만도 가능
  • 소비향락업, 비영리기업 등 일부 업종 제외

대체 가능한 유사 제도

내일채움공제 (현재 운영 중)

청년내일채움공제와는 별도로 일반 ‘내일채움공제’가 현재도 운영되고 있습니다. 중소·중견기업 핵심인력의 장기재직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지원 대상

  • 중소·중견기업 핵심인력
  • 연령 제한 없음

적립 방식

  • 사업주와 핵심인력이 공동 적립
  • 장기재직 시 성과보상금 형태로 지급

3년형 내일채움공제 (2025년 2월 출시)

2025년 2월 10일 기존 5년형보다 가입 기간이 짧은 3년형 내일채움공제가 새롭게 출시되었습니다.

주요 특징

  • 가입기간: 3년
  • 본인 납입금 대비 3배 이상 수령
  • 최소 1,224만원 + 운용수익금 수령

기존 5년형 상품보다 가입 기간이 짧아져 근로자와 기업의 부담을 줄이고 더 많은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개편안입니다.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

2024년 10월 정부와 국민의힘이 청년 취업 지원 대책으로 발표한 제도입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와 비슷한 성격이지만 정부 예산 지원이 축소된 형태입니다.

주요 특징

  • 중소기업 재직자 대상
  • 정부 재정 투입 최소화
  • 자체 적립 중심

청년연계형 내일채움공제

청년과 중소기업을 연계하여 지원하는 내일채움공제 상품입니다.

지원 대상

  • 중소기업 청년 근로자
  • 일정 요건을 충족하는 중소기업

청년 자산형성 대체 제도

청년도약계좌

청년내일채움공제 대신 활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청년 자산형성 지원 제도입니다.

지원 내용

  • 매월 최대 70만원 납입
  • 정부 기여금 추가 적립
  • 5년 만기 시 최대 5,000만원

청년내일저축계좌

저소득 근로 청년의 자산형성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지원 내용

  • 본인 월 10만원 저축
  • 정부 월 10만원 또는 30만원 지원
  • 3년 만기 시 720만원 ~ 1,440만원

희망두배 청년통장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청년 자산형성 지원사업입니다.

지원 내용

  • 본인 월 15만원 저축
  • 서울시 월 15만원 지원
  • 3년 만기 시 1,080만원

기존 가입자 안내

계속 지원 대상

2023년까지 청년내일채움공제에 가입한 기존 가입자는 계속해서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만기 해지

가입 기간 2년을 채우고 재직 중인 경우 만기 해지하여 1,200만원 + 이자를 수령할 수 있습니다.

중도 해지

부득이하게 중도 해지하는 경우 해지 사유와 시기에 따라 본인 적립금과 일부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문의 및 상담

상담 채널

청년내일채움공제 및 내일채움공제 관련 문의는 다음 경로로 할 수 있습니다.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 내일채움공제 콜센터: 1588-6259
  • 운영시간: 평일 09:00 ~ 18:00 (점심시간 12:00 ~ 13:00)

고용노동부

  • 고용노동부 콜센터: 1350
  • 고용센터 방문 상담

청년내일채움공제의 성과

긍정적 평가

중소벤처기업부는 2022년 12월 발간한 ‘내일채움공제 성과분석 및 발전방향 수립 연구보고서’에서 청년내일채움공제의 성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주요 성과

  • 청년 노동자 평균 재직기간: 18개월
  • 공제 가입 청년 평균 근속기간: 52.1개월
  • 재직기간 2.9배 증가 효과

중소기업 혜택

청년내일채움공제는 구인난에 시달리는 중소기업들에게 내국인 청년 근로자를 유치하는 유용한 수단으로 활용되었습니다. 청년들은 “목돈도 모으고 일도 배우자”는 취지로 청년내일채움공제 가입 기업을 선호했습니다.

마무리

청년내일채움공제는 2024년부터 신규 신청이 중단되어 사실상 폐지되었습니다. 재정 여건 악화와 중도해지율 증가 등이 주요 폐지 이유였으며, 청년과 중소기업 모두에게 큰 아쉬움을 남겼습니다.

다만 일반 내일채움공제, 3년형 내일채움공제, 청년연계형 내일채움공제,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 등 유사한 제도들이 현재 운영되고 있습니다. 또한 청년도약계좌, 청년내일저축계좌 등 다른 청년 자산형성 지원 제도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중소기업 재직 청년이라면 현재 운영 중인 내일채움공제 상품들을 확인하고, 본인의 상황에 맞는 자산형성 제도를 찾아 적극 활용하시기 바랍니다.